주빵쓰의 경제이야기(22)
-
뉴욕증시, 부채한도 협상 주시로 다우지수 0.4%하락
부채한도는 협상하는데 아직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아 다우지수가 0.4% 하락함.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상승함. 대체 차이가 뭐지? 다우지수 S&P 500지수 나스닥지수 지수에 편입된 종목이 30개임. 대표성 부족.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에 상장한 500개 대표기업들의 주가를 평균화 한 지수. 대표성 있음. 나스닥에 상장한 3000여개의 종목들의 주가 지수(코스피와 비슷), 빅테크 종목 미국 초우량기업들의 주가 미국 증시의 전반적 분위기 미국 성장기업의 주가 지수 산출 시 구성종목의 시가총액을 따지지 않음. 개별종목의 주가를 다 더한 뒤 종목 수 대로 나누어 구함. 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증가와 감소를 계산하여 지수로 만듬. 따라서 한두개의 대형주가 지수를 좌지우지할 수 있음. 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2023.05.23 -
외국인 투자자의 행보, Buy 코리아?
What: 올 상반기 외국인이 순매수한 국내 주식이 역대 최고인 11조 240억원으로 집계됨. 90%가 반도체임(삼성전자, Sk 하이닉스). Why: 하반기에 반도체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역대 삼성과 하이닉스의 대규모 감산 후 주가가 반등하였음), 미국 상업용 부동산발 위기론 확산, 유럽 은행 리스크 발생 등으로 선진국 자금이 아시아로 밀려듬. How: 한국의 경제 전망은 어두운데(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왜 사는거지?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say "올해 한국 경제가 통화긴축, 부동산 시장 조정 등으로 성장이 다소 둔화하지만 하반기 이후 반도체 경기 회복되면서 반등할 수 있을것" 과연 올 하반기에 반등할 것인가? 보통 한국과 미국의 환율 차가 심하면(현재는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더 높음, ..
2023.05.22 -
늙어가는 한국, 신용등급 강등 위기
What :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여 2050년 무렵에는 최악의 신용등급 강등 위기를 맞을 수 있다. Why: 고금리 시대에 고령화가 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악영향이 커졌다. 고령화로 잠재성장률 하락, 연금 및 의료비 부담 가중으로 국가채무가 늘어나기 때문. 빚은 고금리에 더 불어나니까! How: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빠름.(2070년 세계 최고령 국가, 인구의 절반가량이 고령인구) + 경직된 노동시장, 지속불가능 연금제도, 급증하는 국가채무로 국가 신용등급 추락할 수 있음. 생산가능인구가 빠르게 줄어들면 국가경쟁력이 떨어지며, 한국 국채를 살 사람이 없다! 연금도 2055년에 고갈 예정... 모르는 용어: 차입비용 - 돈을 빌릴 때 드는 이자나 수수료 따위 적용 방안: 현재 대한민국 신용등급: A..
2023.05.19 -
바이든 매카시의 'No 디폴트'? 영향
디폴트: 채무불이행 What: 미국이 디폴트 상태가 되지 않고 예산에 대한 합의에 이를 수 있다고 바이든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함. Why: 매카시 의장이 결론을 찾을 수 있는 협의 구조를 만들었다고 함. How: 디폴트 가능성이 줄어들자 뉴욕증시가 강세를 보임. 다우지수, S&P, 나스닥 상승 마감 모르는 용어: 디폴트 - 국채 불이행으로 미국이 발행한 국채를 미국이 보증해 줄 수 없다는 말임.(원금보장 X), 미국이 국채를 갚아야하는데, 국채를 갚지 못할 위기에 처함. 국채를 갚지 못한다면 달러를 찍어내어 갚아야하는데, 현재는 긴축 시기임. 그래서 달러를 찍어내지 못하여 디폴트 선언한다고 얘기한 듯 함. 은행을 구제한다고 막다보니 1분기 적자가 심해졌음. 미국이 부채한도를 늘리지 않으면 디폴트, 디폴트..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