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빵쓰의 심리학 이야기(10)
-
내가 어떤 사람의 그 모습이 싫을 때 - 파리의 심리학 카페
학기말이라 바빠 블로그 업로드에 소홀했던 점 반성한다. 추가로 몸 상태도 쉼을 필요로 했던 것 같음. 아무튼, '생각에 관한 생각' 이라는 책을 읽다가 도저히 읽히지 않아(몹쓸 번역체... 이해불가) 갈아타며 읽은 책 ' 파리의 심리학 카페'를 읽고 몇 가지 생각이 들어 글을 쓴다. 교사라는 직업은 그 학생들을 맡은 1년 동안 학생 뿐만 아니라 학부모와도 나름 많은 소통을 하게 된다. 매년 담당하는 학생들이 바뀌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 셈이다. 학생들과 꽤 깊은 관계를 맺으면서, 학부모와 소통하면서 그 학생(또는 학부모의) 단점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 직업이 직업인지라, 학생의 옳지 않은 모습은 지적하게 되고 단체 생활을 위해 필요한 부분은 더욱 강조할 때가 많다. 그리고 내가 지적하는 그..
2023.12.12 -
로고테라피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삶이 우리에게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삶은 나에게,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왜(why)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그 어떤(how) 상황도 견딜 수 있다. 로고테라피는 삶의 의미(Logos)를 부여하도록 하는 정신건강 의학 이론이다. 이는 내가 읽은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라는 책의 저자 '빅터 프랭클'이 나치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살아남으며 삶의 실존적 의미에 대해 찾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이 책의 저자는 삶의 실존적 의미는 1. 무엇인가를 창조하거나 어떤 일을 함으로써. 2. 어떤 일을 경험하거나 어떤 사람을 만남으로써. 3. 피할 수 없는 시련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기로 결정함으로써(시련에 의미가 있다).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내 삶에서..
2023.11.25 -
세계 심리학 필독서 30
세계 심리학 필독서 30 - 사토 다쓰야 (발달심리학,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 각 분파의) 심리학의 흐름에 따라 주요 인물과 저서를 요약한 책이었다. 교육심리학에서, 교직과목에서 자주 보았던 학자도 있어서 반갑기도 했다. 아무래도 짧게 요약이 되어 있어 깊이 알긴 어려웠지만, 모르던 학자도 (이해가 잘 가진 않지만...) 눈으로 익힐 수 있어서 좋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더 읽고싶은 학자의 책들의 목록을 뽑아보았다. 1. 매슬로-동기와 성격 2. 대니얼 카너먼-생각에 관한 생각 이 사람이 했던 말이 너무 감명깊어 적어본다. '행복에 필요한 요소는 너무도 다양하고 복합적이어서 우리 인생이 날씨 (미국의 캘리포니아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중서부 지역 사람들보다 행복하리라고 생각한다) 하나만으로는 결코 행복해질..
2023.11.20 -
우리 사회는 지금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풍요중독사회-김태형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곧 내 가치이다. 내가 적은 돈을 벌면 그만큼 내 가치가 낮아지는 것. 앞으로 공무원의 실질 임금이 다른 기업과 비교하여 더 낮아진다면, 공무원이 되려는 사람은 지금보다 더 줄어들 것이다. 지금까지 공무원의 가치가 높았던것은 다른 기업과 비교하여 연금, 정년보장, 임금이 적당했기 때문. 우리나라는 현재 풍요-불화 사회이다. 과거 사회는 동일한 위계의 사람들과 비교적 화목했다면, 현재는 그 위계마저도 다층화되어 기댈 곳이 없다는 것. (화목해지기에는 내 서열과 네 서열이 너무 다른데?) 이러한 위계에 기초한 인간관계는 결국 갑과 을을 만들어내며, 현재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갑질문화'의 기초가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위계=돈. 위계가 다층화되어 불안이 심화되고..
202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