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1)
-
삼전, 지금 매수? 매도?
얼마 전 삼성전자 주식이 AI 엔비디아의 열풍을 받아서인지 1년중 최고가를 경신했다. 하지만 오늘, 차트를 보니 주가가 하락중이다. 엔비디아 AI 주가가 상승한 이유는, Chat GPT로 인해 인공지능 관련 분야의 성장 기대감이 선반영되어있는 중에, 엔비디아의 2~4월 실적발표에서 컨센서스(전망치 평균)을 웃돌았고, 다음 분기(5~7월) 매출 가이던스가 예상치보다 50% 높은 110억달러로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AI 연산에 필요한 GPU에 들어가는 메모리반도체 설계의 90%가 엔비디아에서 설계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상승으로 인해, 메모리반도체 파운드리 경쟁력이 뛰어난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도 수혜 대상으로 꼽혔었다. 엔비디아 주가는 최근 3일간 떨어진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미국의 불안정한 부채협상 및 ..
2023.06.01 -
AI 열풍 수혜주 엔비디아, 시총 1조달러 돌파
AI의 최대 수혜주인 엔비디아 주가가 올해들어 180% 넘게 폭등하여 시총 1조달러를 돌파하였다. GPT가 불붙인 AI 붐이 확산하면서 AI 개발에 쓰이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중 90%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 엔비디아에 투자 수요가 몰렸다. GPU는 AI 학습에 필요한 것으로 AI가 더 많이 학습하기 위해서는 챗 GPT의 경우 이전 버전보다 3~5배 더 많이 필요하다고 한다. 앞으로 더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니 주가가 급등한 듯 하다. 한편으로는 금리를 인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주의 주가가 상승하니 아무래도 엔비디아의 주가는 FED의 금리인상 발표 전후로 낮아지지 않을까...? 그래도 낮아지긴 하더라도 조정을 받지 이미 1조달러에 든 이상 규모가 커서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 같다. 미국..
2023.05.31 -
컬리, 티몬, 위메프... 기로에 선 e커머스
쿠팡, 컬리, SSG 닷컴, 야놀자 등 국내 주요 e 커머스 업체의 결손금이 작년 말 기준 10조원을 넘어섰다. 코로나 엔데믹으로 인해 국내 온라인 침투율의 증가세가 둔화되었으며, 경기침체로 인해 투자자들이 위축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 기간 동안 업체들이 적자를 무릅쓰고 대다적으로 투자(물류 네트워크 및 고객 테이터)하고 점유율을 높이는데 집중했기 때문에 누적된 순손실로 인해 순자산이 감소하였다.(결손금) "국내 e 커머스 시장이 과점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시장 전체 파이가 다시 급격히 커지지 않는 한 압도적으로 몸집을 키워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을 것" 내가 주요 e 커머스 업체들을 써 본 결과, e커머스 업체 중에선 쿠팡의 독식이 앞으로 점점 커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e 커..
2023.05.30 -
20~30대 직장인 절세 방법(주택청약, 연금저축, 월세,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 청년펀드)
1. 주택청약 -무주택 세대주이고, 연 소득 7000만원 이하여야 함. 나는 무주택이 아니라 오피스텔 1채를 보유중이므로 패스. 하지만 절세 방법 중에서 주택청약 납입금액의 40%로 가장 소득공제 비율이 높다. 2. 연금저축 -총 급여 5500만원 이하 근로자, 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이하에 한해서 16.5%의 세액공제를 받는다.( 연 1800만원의 한도로 납입 가능하다. 그 이상인 경우는 13.2% 세액공제 세액공제한도는 둘 다 600만원이며, 600만원 모두 납입했을 경우 99만원의 세금혜택을 받는다. (내가 이걸 작년에 알았더라면, 77만원+a 토해내지 않는건데... 매우 아쉽군 이 연금저축 계좌는 연금저축펀드와 연금저축보험이 있는데, 20~30대의 직장인인 경우 연금저축펀드를 더 추천한다. 미국..
2023.05.28 -
우에다 총리, 임금 인상으로 인한 통화 정책의 변경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기업들의 '임금 인상'으로 일본의 통화정책이 변경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임금이 상승하면 물가가 상승한다. 물가에 임금인상분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물가 인상이 통화정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현재 일본의 통화정책은 '저금리' 기조이다. 일본은 오랫동안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었고 '인플레이션'이 무척 필요했다. 인플레를 일으키려면 '저금리'로 투자를 촉발시켜야 하기 때문이였다. 코로나19 종료 후 모든 국가가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고 금리를 인상하여 긴축을 할 때, 일본은 긴축으로 인한 저성장이 우려되어 긴축하지 않았다. 오히려 일본은 국채를 직접 인수해 국채금리 변동폭을 줄였다. 이는 '엔저' 현상을 일으켰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벌어지자 엔화가 평가절하 ..
2023.05.26 -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걱정된다
한은이 3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과 불안한 경기 전망이 그 요인이라고 한다. 반면 경제성장률은 잇따라 하향을 결정하여 저성정이 예고된다.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크지 않고, 무역수지도 14개월째 적자다.(-26억 2000만달러) 현재 기준금리 차가 1.75이다. 다음 fomc의 기준금리 발표는 6월 13-14일이다. 미국은 앞으로 금리를 더 늘릴까? 금리 차가 이렇게 역전될 경우, 환율도 급등할 것 같은데 한은은 이런 금리차보다 경기둔화를 더 우려하고 있는 듯 하다. 이번에 가계부채가 역대 최대폭 감소했다고 한다. 얼핏 '부채가 감소하면 좋은것 아닌가?' 싶지만 이 가계부채가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해하는 듯 하다.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이 많이 줄었으며, 오히..
2023.05.25